국문초록:최근 한국의 대중음악은 양적 팽창과 질적 수준의 향상을 이룩하며, 전 국민이 즐기는 문화의 하나로 자리잡고 있다. 이에 따라 대중음악에 대한 다양한 논의와 비판이 우리 사회에 대두되기 시작했다. 본 연구에서는 근대 한국 대중음악이 본 격적으로 태동하는 시점인 일제시대의 대중음악에 주목하여 그 특성을 살펴봄으 로써 이후 대중음악의 비중과 현상을 이해하는 데에도 하나의 단초를 제공해 주 려고 한다. 이 연구는 일제시대 대중음악을 통해 한국인의 생활문화를 파악하는 것이다.
먼저 당시의 언론기사 등 문헌자료를 활용해 일제시대 대중음악의 구체적 현황 을 분석하였다. 식민지 체제라는 특수한 역사적 상황이 대중음악의 생산과 유통 에 많은 작용을 했다는 점을 중시하여, 역사적 배경에서 오는 문화산업 측면과 일제라는 특별한 정치적 맥락이 대중음악 텍스트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를 중점 적으로 살펴보았다. 또, 1926년에서 1945년 해방이전까지 유성기 음반으로 발매되 었던 대중음악 중 인기가수에 의해 불려져 비교적 널리 유행했던 노래를 채택하 여 가사 분석과 수용자와의 면접 등을 병행함으로써 당시 한국인의 삶을 알아보 았다.
일제시대의 대중음악에는 전통사회에서 가치를 부여받던 자연친화적 태도와 향 토적이고 소박한 정서, 농촌사회의 노동현실이 반영됨으로써 당대 민중에게 공감 과 위로를 주었다.
결론적으로 한국 대중음악은 그것이 성립발전되던 당시의 경제(자본)적 원리와 식민지 정치논리 사이에서 갈등과 협상과정을 거치면서, 폭넓은 주제와 소재를 이용해 한국인의 다양한 생활문화를 표현하고 있다. 그 중 대중의 정서와 경험세 계, 욕구 등을 사실적으로 표현한 것은 현재까지도 기억되고 불려지는 등 긴 생 명력을 가지고 있다.
이제까지의 일제시대 대중음악 연구는‘친일’혹은‘저항’이라는 이분법적 구도로서 주로 설명되었으며, 수용자 층에 대한 면접이나 1차 자료 연구가 병행되지 못했 다는 한계성을 지닌다. 본 연구는 이 같은 점을 보충하면서 대중음악을 한 시대 의 정치, 경제, 사상, 문화, 풍속 등을 투영하는 자료로서 활용하여 한국인의 다양 한 생활문화를 파악하고자 한 점에서 그 의의를 찾고자 한다.
키워드: 생활문화 친정 독립 대중가요 일제시제음악
목 차
감사의 글
국문초록
中文摘要
제1장 서론-1
제2장 본론-2
2.1대중문화에 대한 시각과 이론틀-2
2.2지배계급과 대중사이의 투쟁과 협상-2
2.3역사적 맥락과 대중음악-3
2.4일제시대 대중음악의 현황-4
제3장 결론-7
참고문헌-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