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초록:본고의 제1장은 서론으로서 연구목적, 선행연구, 연구방법론에 대해 피력할 것이다. 제2장에서는 가면극과 나희의 변천사 비교를 통해 양자의 같은점과 다른점을 둘러보도록 한다.
가면극은 한국의 전통 연극으로서 원시 제사의식에서 비롯되었다. 궁중과 민간에서 두루 발전을 거쳐 조선조 말기에 최종의 형태를 갖추게 된다. 근대와 현대를 거치는 과정에서 여러가지 원인으로 말미암아 거의 유실되기에 이른다. 한국의 경우, 광복 후 민간 전통예술에 대한 보존의식이 날로 강화되어 20세기 60년대에 무형문화재 보호 정책이 시행되면서 점차 회복기를 거쳐 전성기를 구가 중이다. 현재, 국가 무형재로 전승되는 가면극은 총 13부에 이른다. 이와 같이, 가면극은 한민족의 소중한 유산임에 틀림없다.
중국의 나희는 탕당극, 단공극이라고도 하는데 한족의 민간 제사의식을 기반으로 민간희곡이 가미되어 형성된 희곡 형식이다. 이와 같이, 나희는 한족의 역사, 민속, 민간종교와 원시희극의 종합체라고 할 수 있다. 안휘, 강서, 호북, 호남, 사천, 귀주, 섬서, 하북 등 성시에 광포된 희극으로서 대표적인 것으로는 “맹강녀”, “방씨녀”, “용강녀”, “도원동신”, “양산토지” 등이 있다. 이외에 “목련전”, “삼국연의”, “서유기”로부터 말미암은 절목들도 있다.
제3장에서는 가면극과 나희를 표현방식, 가면의 종류와 등장인물 성격, 음악 및 복장에 대한 비교를 통해 양자를 진일보 살피도록 한다. 가면극은 한국 전통 연국 중 하나로서 상고시대의 무속 제식에서 발원, 궁중의 산악과 민간의 성황제로 변천을 거듭하다가 조선조에서 그 양식을 완성하게 된다. 그 독특한 변천사와 마찬가지로 형식과 내용, 구조와 출연공간에 있어서도 특별한 희극 표현형태를 갖고 있다. 중국의 나희는 반복적인, 다량의 춤사위 행위 프로세스가 특징적이다. 고정 절목에서 많이 활용되는 바 원시 춤사위 스타일로 그 독특함을 드러낸다.
제4장에서는 표현목록에 대한 비교를 통해 한국 가면극과 중국 나희의 같은점과 다른점을 비교하도록 한다. 양자는 모두 무속문화로서 그 표현 목적에 있어서 종교적 색채를 띄고 있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그러나 양국 문화의 차이는 두 연극의 차이로도 드러난다. 이점에 대해서는 본문에서 보다 상세히 살피도록 할 것이다. 제5장 결론은 2~4장의 주요 내용을 정리하는 것으로 대신하도록 한다.
키워드: 가면극, 나희, 변천사, 무속문화, 공통점 차이점.
목차
논문초록
中文摘要
1. 서론1
1.1연구목적과 선행연구1
1.2연구의 내용과 방법2
2.가면극과 나희의 기원과 변천 비교3
2.1나희의 기원과 변천3
2.2가면극의 기원과 변천4
3.연희의 양상 비교5
3.1공연장소와 방식 비교6
3.1.1나희의 공영장소와 방식6
3.1.2가면극의 공영장소와 방식7
3.2탈의 종류와 등장인물의 성격 비교9
3.2.1가면극 탈의 종류와 등장인물의 성격 9
3.2.2나희 탈의 종류와 등장인물의 성격 11
3.3음악과 의상 및 도구 비교16
3.3.1가면극 음악과 의상 및 도구 비교16
3.3.2나희 가면극 음악과 의상 및 도구19
3.4연희의 목족 비교20
3.4.1나희 연희의 목족20
3.4.2가면극 연희의 목족21
4.결론22
5.참고문헌26
6.감사말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