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 론:상차림이란 한 상에 차려지는 주식류와 찬품을 배선하는 방법을 이른다. 일상식에서는 주식이 되는 음식에 따라서 반상(飯床),죽상(粥床), 장국상 등의 있으며, 손님을 대접하는 교자상과 주안상과 다과상 등이 있다.
한 상에 차려지는 여러 가지 음식의 내용을 한데 적은 것을 음식발기’(飮食件記)’ 또는 ‘찬품단자(饌品單子)’ 라고 한다. 요즈음은 식단이라 줄여서 부르고 있는데 서양의 메뉴에 해당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식당에서 음식명과 가격만을 적은 메뉴 하고는 다르다.
한국음식의 일상식은 주식과 부식을 뚜렷하게 구분 지을 수 있는데, 특히 전통적인 상차림을 체계적으로 갖추게 된 것은 조선시대이다. 조선시대 후기에는 식품의 종류가 현재 한국인 먹고 있는 식품들이 대부분 이용되었으며, 조리법으로는 밥짓기, 끓이기, 삶기, 찌기, 굽기, 지지기, 튀기기 등의 다양한 조리법이 활용되었다.
일상의 반상은 밥을 주식으로 하고 국과 김치 그리고 찬물을 한데 차리는 상차림이다. 반상은 찬의 가짓수에 따라 3첩, 5첩, 7첩, 9첩, 12첩 반상으로 불리는데 대개 양반서에서는 5첩 내지 7첩 반상을 차렸으며, 서민가에서 3첩이 고작이었다. 밥 이외에 국수나 만두를 주식으로 하는 상은 장국상이라고 한다.
예절이란 일정한 생활 문화권에서 오랜 생활 관습을 통해 하나의 공통된 생활 방법으로 정립되어 관습적으로 행해지는 사회계약적인 생활 규범이다. 예절은 나라와 민족에 따라 다르고, 같은 나라 안에서도 지역적으로 조금썩 다르고 시대에 따라서도 변천한다. 한국은 가가례라 하고 지방과 가정에 따라 예절이 다른 것이 흉이 되지 않으나 사회생활이란 남과 같이 어울려 사는 것이니 바른 예절을 알아야 할 것이다. <<예기>> 에 “무릇 예의 시초는 음식에서 시작된다” 고 하여 먹는 일에 관한 예절을 옷을 입거나 다른 어떠한 예절보다 앞서서 일깨웠다. 사림이 먹고 마시는 일은 필수적으로 중요한 일이고, 태어나서 제일 먼저 배우는 것이 음식예절이다.
현대에 한국 음식은 내용이 많이 달라지고 식사하는 환경도 달라졌다. 본고에서는 통과의례의 상차림과 제상과 명절상은 제외하고, 평소에 이루어지는 일상적인 상차림의 구성과 식사예법에 대하여 시대별로 문헌에 실린 내용을 고찰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