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 론:한민족은 고대로부터 단일민족으로 고유한 언어 사용과 풍습을 배경으로 성장 발전하며 살아왔다. 삼국시대에는 유교, 도교, 불교 등이 중국으로부터 전래되었고, 근세에 들어와서는 18세기 이래로 서구의 종교와 사상이 들어오게 되었다. 특히 중국의 유교사상은 인간의 삶을 대상으로 하는 학문으로 한국 민족의 생활윤리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유교의 핵심개념은 인(仁)인데 인은 인(人.사람인)과 이(二.두 이)와의 합자이다. 즉 사람의 기본적인 존재구조인‘너'와‘나'라는 인간관계를 뜻하는 글자이다. 따라서 유교의 목적은 나를 닦는 수기(修己)와 남을 다스리는 치인에 있다. 수기를 완벽하게 하면 성인이 되고 치인을 완벽하게 하면 왕이 되는 것이다. 안으로는 성인이 되고 밖으로는 왕화를 이룩하는 것, 이것이 유교의 궁극적인 목적이다. 즉 인간의 가치를 고양하고 사회질서를 바로잡는 것이 유교의 근본정신이다.
한국에 유교가 전래된 것은 이미 1,600여 년 이상이 되었다. 고구려 때에 태학을 세워서 자제를 교육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하지만 유교사상은 이보다 훨씬 오래 전에 들어와서 삼국시대, 고려시대에 이르기까지 종교적으로는 불교의 영향 아래 있었지만 정치적으로는 유교의 이념을 실현하였다. 삼국시대에는 경학사상을 국가의 통치이념으로 활용하였으며, 통일신라로부터 고려 전반기까지는 문학적으로 발전하였다. 고려충렬왕 이후에는 성리학이 전래되어 조선 전반기까지는 주자(朱子)의 성리학이 성행하였는데 이것은 유교를 이론적으로 발전적으로 발전시킨 철학적 유교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
유교의 기본윤리인 삼강오륜(三纲五伦)은 전통사회의 일상적 실천 원리로서 그 규범 체계가 대중 속에 광범하게 확산되어 사회윤리로 정립되었다. 유교의 정치이념은 권력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덕으로써 백성을 교화하는 민본사상과 덕치주의에 근거하고 있다. 이러한 문화적, 역사적인 배경 하에서 발생한 유교는 자연히 현실적이고 인간 중심적이며 윤리적인 특성을 강하게 가진 사상으로서 발전하였다.
유교는 음양의 이치를 따라 대자연의 법질서에 순응하며, 사람답게 사는 길을 밝히고 인간 본래의 의미를 찾아서 올바른 사회를 건설하는 것을 이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유교는 한반도에 일찍부터 전래되어, 오늘날까지도 한국인들의 삶에 깊숙히 스며들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