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韩被动句类型及用法的对比研究_韩语论文.doc

  • 需要金币2000 个金币
  • 资料包括:完整论文
  • 转换比率:金钱 X 10=金币数量, 即1元=10金币
  • 论文格式:Word格式(*.doc)
  • 更新时间:2017-11-22
  • 论文字数:15833
  • 当前位置论文阅览室 > 外语论文 > 韩语论文 >
  • 课题来源:(小猪猪)提供原创文章

支付并下载

국문초록

 

피동문은 세계 여러 언어에서 널리 발견되는 언어 현상이고 한국어와 중국어에서도 흔히 쓰인다. 본고에서는 한국어 접미 피동문과 ‘되다, 받다, 당하다’ 피동문 및 중국어‘被’자문과‘遭受’피동문을 대상으로 각각의 통사적 특징과 의미적 특징을 밝혔다. 또한 한국어 접미 피동문과 중국어‘被’자문의 공통점과 차이점 및 한국어 ‘되다, 받다, 당하다’ 피동문과 중국어‘遭受’피동문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해 보았다.

제 1 장에서는 본고의 목적과 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 2 장에서는 한국어 피동문과 중국어 피동문에 대한 대조 분석을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이론적 배경을 소개하였고 피동의 개념을 정리하고 한국어와 중국어 피동문의 유형을 살펴보았다.

제 3 장에서는 한국어 접미 피동문과 중국어‘被’자문에 대해 대조 분석을 하였다. A절과 B절에서 한국어 접미 피동문의 문형과 중국어‘被’자문의 문형을 소개하였다. C절에서 한국어 접미 피동문과 중국어‘被’자문의 주어 NP₁, 동작주 NP₂, 목적어 NP₃및 서술어 VP의 특징을 밝히고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제 4 장에서는 한국어 ‘되다, 받다, 당하다’ 피동문과 중국어‘遭受’피동문을 대조 분석하였다. A절과 B절에서 한국어 ‘되다, 받다, 당하다’ 피동문의 문형과 중국어‘遭受’피동문의 문형을 살펴보았다. C절에서 한국어 ‘되다, 받다, 당하다’ 피동문과 중국어‘遭受’피동문의 주어 NP₁, 동작주 NP₂, 목적어 NP₃ 및 서술어를 이루는 동작명사 NP₄과 기능동사 VP의 특징을 밝히고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제 5 장에서는 이상의 내용을 정리하고 결론을 내렸다. 기존의 대조 연구는 주로 한국어 접미 피동문과 중국어‘被’자문을 대상으로 진행되어 왔을 뿐이다. 본고처럼 한국어 ‘되다, 받다, 당하다’ 피동문과 중국어‘遭受’피동문을 대상으로 하는 대조 분석은 아주 적다. 따라서 본고는 대조 분석의 결과를 통해 후행하는 연구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키워드:  접미 피동문  ‘被’자문  ‘되다, 받다, 당하다’ 피동문  ‘遭受’피동문  대조 언어학

 

目录

摘要

국문초록

목차-1

제1장 서론-3

1.1 연구목적 및 필요성-3

1.2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3

제2장 이론적 배경-5

2.1 피동의 개념-5

2.2 한국어 피동문의 유형-5

2.2.1 접미 피동문-5

2.2.2 ‘되다,받다,당하다’ 피동문-5

2.2.3 ‘-어지다’ 구문-6

2.3 중국어 피동문의 유형-6

2.3.1 ‘被’자문-6

2.3.2 ‘遭受’구문-6

2.3.3 무표지 피동문-7

제3장 한국어 접미 피동문과 중국어 ‘被’자문의 대조 연구-9

3.1 한국어 접미 피동문의 문형-9

3.1.1 NP₁이/가+NP₂에게/에+VP 문형-9

3.1.2 NP₁이/가+VP 문형-9

3.1.3 NP₁이/가+NP₂에게/에+NP₃을/를+VP 문형-9

3.2 중국어‘被’자문의 문형-10

3.2.1 NP₁+被+NP₂+VP 문형-10

3.2.2 NP₁+被+VP 문형-11

3.2.3 NP₁+被+NP₂+VP+NP₃ 문형-11

3.3 한국어 접미 피동문과 중국어‘被’자문의 특징 대조-11

3.3.1 한국어 접미 피동문과 중국어 ‘被’자문 NP₁의 특징 대조-11

3.3.2 한국어 접미 피동문과 중국어 ‘被’자문 NP₂의 특징 대조-12

3.3.3 한국어 접미 피동문과 중국어 ‘被’자문 NP₃의 특징 대조-13

3.3.4 한국어 접미 피동문과 중국어 ‘被’자문 VP의 특징 대조-14

제4장 한국어 ‘되다, 받다, 당하다’ 피동문과 중국어 ‘遭受’ 피동문 대조 연구-16

4.1되다, 받다, 당하다’ 피동문의 문형-16

4.1.1 NP₁이/가+NP₂에게/에+[NP₄+VP] 문형-16

4.1.2 NP₁이/가+[NP₄+VP] 문형-16

4.1.3 NP₁이/가+NP₂에게/에+NP₃을/를+[NP₄+VP] 문형-16

4.2 중국어‘遭受’피동문의 문형-16

4.2.1 NP₁+[VP+NP₂的+NP₄] 문형-16

4.2.2 NP₁+[VP+NP₄] 문형-17

4.3한국어 ‘되다, 받다, 당하다’ 피동문과 중국어‘遭受’피동문의 특징 대조-17

4.3.1 한국어 ‘되다, 받다, 당하다’ 피동문과 중국어‘遭受’피동문 NP₁, NP₂및 NP₃의 특징 대조-17

4.3.2  NP₄ 및 VP의 특징-19

제5장 결론-21

참고문헌-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