韩剧与韩语学习--以电视剧《鬼怪》为例_韩语论文.docx

  • 需要金币3000 个金币
  • 资料包括:完整论文,开题报告
  • 转换比率:金钱 X 10=金币数量, 即1元=10金币
  • 论文格式:Word格式(*.doc)
  • 更新时间:2019-02-24
  • 论文字数:20622
  • 当前位置论文阅览室 > 外语论文 > 韩语论文 >
  • 课题来源:(克莱儿)提供原创文章

支付并下载

韩文요약: 한국 드라마는 독특한 매력으로 인기를 누리고 있다. 드라마를 잘 이용하면 한국어 공부에 좋은 학습 도구와 수단이 될 수도 있다. 

본 논문은 세 부분으로 나뉜다. 

서문에서는 먼저 연구 배경, 연구 목적, 연구 의미와 선행 연구를 제시한다. 

본문에서는 주로 한국 드라마『도깨비』에서 나오는 대사들에 대해 몇 가지로 분류하여 정리했다. 먼저 드라마와 듣기 연습에 대해 『도깨비』 중의 어휘(관용어·속담·성어·외래어·유행어·방언)를 가지고 듣기 이해가 어려운 특수 어휘를 분석한다. 그리고 드라마 속에 나오는 특수 구어 표현을 통해 듣기능력에서 부닥치는 또 하나의 어려운 부분에 대해 설명한다. 다음은 드라마와 말하기 연습에 대해『도깨비』에서 나오는 일상 회화를 예로, 일상생활과 밀접한 주제들이 돌발적으로 나올 때 표현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깨비』에서 나오는 일상 경어와 비경어를 사용하는 장면을 꼼꼼히 분석한다. 『도깨비』에서 나오는 명대사를 유머 넘치는 말과 우아한 말 두 가지로 간결하게 정리해 표현 방법을 설명한다. 마지막 부분은 『도깨비』에서 나오는 한국 전통 문화에 대한 분석과 이해이다. 

결론에서는 한국 드라마가 한국어 학습에 도움이 된다는 결론을 내렸다. 한국 드라마는 단순한 오락 수단 뿐 아니라 한국어를 배우는 수단이 될 수 있다. 우리는 한 편의 한국 드라마에서 세 부분으로 나누어 공부할 수 있다. 첫째, 『도깨비』경우 극중에서 나오는 관용어, 속담, 성어, 외래어, 유행어, 사투리 등을 구체적으로 분석 연구하면 한국어 듣기 이해가 어려운 어휘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드라마 속에 나오는 특수 구어 표현을 통해 듣기능력에서 부닥치는 또 하나의 어려운 부분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둘째, 극중의 경어와 비경어, 명대사를 통해 한국어 대화 수준을 향상시 킬 수 있다. 셋째, 한국 드라마를 통해 한국의 전통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 일 수 있다.

[키워드] 한국 드라마, 『도깨비』대사, 한국어 학습

 

中文摘要:韩剧凭借自身独特的魅力取得很大的人气。对韩语学习来说,倘若善加利用,韩剧就能成为很好的韩语学习工具和手段。

本论文主要分为三个部分。

序文中首先提出了研究背景、研究目的、研究意义和先行研究。

正文中主要将韩剧《鬼怪》中的台词分类进行了整理。首先在电视剧与听力练习方面,对《鬼怪》中的出现的,造成听力理解困难的特殊词汇(惯用语,俗语,成语,外来语,流行语,方言)进行分析。并且通过电视剧中出现的特殊的表达方式,对造成听力理解困难的特殊词汇进行说明。其次,在电视剧与会话练习方面,以《鬼怪》中出现日常会话为例,对与日常生活密切相关的表达方法进行说明。再次,是对《鬼怪》中出现的敬语与非敬语的详细分析。接着,将《鬼怪》中的经典台词分为两类:幽默的语言和优美的语言进行整理,分析并说明其用法。最后,是对《鬼怪》中体现的韩国传统文化的分析和理解。

结论部分中得出韩剧有助于韩语学习的结论。韩剧不仅仅是单纯的娱乐手段,还可以成为韩语学习的手段。我们可以从三个方面入手学习一部韩剧。以《鬼怪》为例,首先具体地分析剧中出现的惯用语,俗语,成语,外来语,流行语,方言等词汇,对理解特殊词汇有很大的帮助。其次,通过电视剧中的特殊口语表达,有助于理解造成听力困难的地方。再次,通过学习韩剧中的敬语和非敬语、经典台词,可以提升我们会话的水平。最后,通过韩剧可以增强我们对韩国传统文化的理解。

[关键词] 韩剧;《鬼怪》 台词;韩语学习

 

목 차

요 약

中文摘要

1. 서론-1

1.1연구 배경-1

1.2연구 의미-1

1.3선행 연구-2

2.드라마와 듣기 연습-4

  2.1 특수 어휘-4

  2.2 특수 구어 표현-7

3. 드라마와 말하기 연습-9

3.1 말하기 주제-9    

  3.2 경어·비경어 -10

  3.3명대사-11

4. 드라마와 전통 문화-15

4.1 생활 풍습-15

4.2 음식 문화-15

4.3 종교 요소-16

5. 결론-17

참고문헌-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