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 론:이 논문은 중·한 접두사를 비교하고 두 언어의 접두사의 의미 및 형태적인 측면에서 대조 분석하여 중·한 접두사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 한국어 접두사와 중국어 접두사의 특성을 비교하는 것은, 양 언어의 접두사를 대조함으로써 서로의 언어를 더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상대 언어를 배우는 학습자에게, 즉 중국어를 배우는 한국인과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본 논문은 양 언어에 대한 비교 대조 연구를 하기 위하여 한국어 접두사, 중국어 접두사, 한국어 접두사와 중국어 접두사의 대조 연구 3단계로 나누어 한국어와 중국어 접두사에 대해 비교 분석하기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 접두사를 대상으로 형태적, 기능적, 의미적 특성의 전반적인 면에 대조 분석을 하였다. 두 나라의 접두사를 비교하기 위해서 각국 접두사의 체계적인 이해부터 시작해야 했으며 이어 접두사의 특성을 살펴봤다.
제1장에서는 연구목적을 소개하고 검토해 보았다.
제2장에서는 한국어의 접두사 체계를 간략하게 소개하였으며 고유어 접두사와 한자어 접두사를 나누어 살펴보았다. 국립국어연구원 편 「표준국어대사전」(2008)에 수록된 고유어와 한자어 접두사들의 목록을 제시했는데, 그들을 바탕으로 하여 고유어와 경우 명사와 동사, 형용사 파생 접두사로 나누어서 그 전반적인 특성을 살펴보았다. 한자어 접두사의 경우는 그 기능적 특성을 기준의 접두사 설정 기준과 함께 논의하고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우선 본 논문에서 연구대상을 제시하기 위해 중국어 접두사에 대한 지금까지의 여러 제안들 살펴보았다. 단순히 접두사 연구가 아니라서 본 논문에서 정확한 접두사 설정 작업을 안 하고 국립국어연구원(2001)에 수록된 접두사 목록을 기본으로 하였으며 필요한 경우 기타 연구들에서 한자어 접두사도 인정된 접두사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제4장에서는 다른 하나의 연구대상인 중국어 접두사 목록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중국어 접두사의 설정도 한국어와 마찬가지로 학자에 따라 여러 견의가 있다. 본 후에 한국어와 중국어 공통의 접두 파생의 경우, 한자상 의 비교와 의미상의 비교로 구성되었다.
마지막 결론 부분에서 접두사의 기준 제시를 통해 한국어 고유어 접두사, 한자어 접두사와 중국어 접두사를 여러 가지 관점에서 비교해 봤다.
본 논문에서 한국어 접두사와 중국어 접두사의 대조 분석을 하며, 두 언어 접두사의 의미과 형태적인 공통점과 차이점을 제시하였다. 지금까지 한국어 접두사와 중국어 접두사의 연구가 많이 없을 상황인데 본 논문이 나중의 연구에도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